쇼와 도난카이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와 도난카이 지진은 1944년 혼슈 남쪽 해안의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필리핀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난카이 해곡의 C & D 구획이 파열되었다. 일본 기상청 규모 Mj7.9, 표면파 규모 Ms8.0, 모멘트 규모 Mw8.1-8.2로 추정되며, 최대 9m의 쓰나미가 미에현 오와세시를 덮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1,223명이 사망하고 47,000채의 가옥이 피해를 입었으며, 군부의 정보 통제로 피해 상황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 지진은 이후 발생한 쇼와 난카이 지진과 유발 지진의 원인이 되었으며, 도카이 지진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지진 -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은 1944년에 발생한 압록강 하구 지진으로, 규모는 M6.75에서 M7.1 사이로 추정되며, 중국 단둥시 등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서 진동이 감지되고 가옥 붕괴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 미에현의 역사 - 이세국
이세국은 현재의 미에현을 중심으로 아이치현과 기후현 일부를 포함하는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야마토 정권 시대부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이세 신궁을 중심으로 신토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 미에현의 역사 - 핫토리 마사나리 (1542년)
핫토리 마사나리는 핫토리 한조로 더 잘 알려진 일본 무사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활약, 이에야스 탈출을 돕고 검사 역할을 거부한 일화, 그리고 "오니노 한조"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며 그의 이름은 현재 지명과 대중문화에 남아 전해진다. - 1944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4년 일본 - 도조 내각
도조 내각은 도조 히데키가 이끈 전시 내각으로,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고 국가 동원 체제를 강화했으나, 무리한 전쟁으로 일본을 패망으로 이끌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쇼와 도난카이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1944년 도난카이 지진 |
현지 시각 | 1944년 12월 7일 13시 35분 (JST) |
타임스탬프 | 1944년 12월 7일 04시 35분 |
위치 | 구마노나다 해역 (일본 도카이 지방, 와카야마현 인근) |
좌표 | 34.0, 137.1 |
깊이 | 30 km |
단층 | 난카이 해구 |
쓰나미 | 발생 |
지진 규모 | |
규모 | Mw 8.1, Ms 8.2 (ISC) |
일본 기상청 규모 | MJ 7.9 |
진도 | |
최대 진도 (MMI) | VIII |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 6 |
진도 관측 지역 | 오마에곶, 쓰시 등 |
추정 최대 진도 | 7 (아이치현 니시오시, 시즈오카현 기쿠가와시 및 후쿠로이시 등) |
피해 정보 | |
사망자 | 1,223명 |
부상자 | 2,135명 |
쓰나미 높이 | 오와세시에서 9m |
기타 정보 | |
지속 시간 | 95초 |
유형 | 해구형 지진, 역단층형 |
![]() |
2. 지진 발생 배경
혼슈 남쪽 해안의 난카이 해곡은 필리핀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하는 경계로, 많은 지진을 유발한다. 난카이 거대 단층은 5개의 구획(A~E)으로 나뉘며,[2][3] 이들은 지난 1300년 동안 단독으로 또는 함께 반복적으로 파열되었다.[4] 이 구조에서 발생하는 거대 지진은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쌍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1944년 지진으로 C & D 구획이 파열되었고, 2년 뒤 A & B 구획이 파열되는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이 발생했다. 1854년에도 유사한 지진이 두 차례 발생했는데, 각각의 경우 북동쪽 구획이 남서쪽 구획보다 먼저 파열되었다.[5]
쇼와 도난카이 지진은 1944년 12월 7일에 발생한 난카이 해곡 거대지진이다. 미에현 쓰시와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시, 나가노현 스와시에서 진도 6을, 긴키 지방에서 주부 지방에 걸쳐 진도 5를 관측했다.[74] 후쿠치촌과 후쿠로이시 등에서는 진도 7로 추정되기도 했다.[75][76] 도쿄에서는 진도 3-4, 홋카이도 모리정과 아사히카와시에서도 진도 1을 관측했다.[80] 오마에자키에서는 17.1초간 초기 미동, 3분간 강한 진동이 이어졌고,[74] 도쿄에서는 주기 7-12초의 장주기 지진동이 10분 이상 지속되었다.[81]
3. 지진의 특징
다음은 일본 각지 관측소에서의 진도표이다.진도 지방 관측소 6 도카이 지방 오마에자키 · 쓰 · 도요하마 · 아카바네 · 오노 · 쓰시마 · 욧카이치 · 오스기타니 고신 지방 스와 5 호쿠리쿠 지방 후쿠이시 · 쓰루가시 고신 지방 고후시 도카이 지방 하마마쓰시 · 가메야마정 · 오와세정 · 기후시 · 나고야시 긴키 지방 히코네시 · 나라시 4 간토 지방 마에바시시 · 지치부시 · 도쿄도 (고지마치구) · 요코하마시 호쿠리쿠 지방 다카다시 · 도야마시 · 와지마정 고신 지방 가와구치촌 · 마쓰모토시 · 이다시 도카이 지방 아타미시 · 다카야마시 · 미시마시 · 시즈오카시 긴키 지방 미야즈정 · 교토시 · 오사카시 · 고베시 · 스모토시 · 와카야마시 · 구시모토정 시코쿠 지방 도쿠시마시 · 다카마쓰시 · 다도쓰정 · 마쓰야마시 · 무로토미사키정 · 고치시
지진으로 시즈오카현 오타가와강 제방 위 땅이 갈라지며 2m 침하, 구마노나다 신구시·도바시 0.3m 침하, 나고야시 0.25m-0.4m 침하, 아쓰미반도 0.3m-0.4m 침하, 하마마쓰시 0.3m-4m 침하, 스루가만 시미즈구 0.5m 침하했다.[98] 가케가와시 0.07m 융기, 사가라항 0.3m 융기, 오마에곶 0.15m 융기했다.[98] 서북쪽 침강, 동남쪽 융기한 지각변동은 안세이 도카이 지진과 비슷하나, 스루가만 서해안 침강, 지각변동 폭이 작은 점이 다르다.[99]
미에현 오와세시 중심 구마노나다 연안에 쓰나미가 덮쳐 오와세시 가타지구 최대 소상고 9m를 기록했다.[103] 미에현·와카야마현에 특히 높은 쓰나미가 덮쳐 아타시카초 6-8m, 가타 7.1m, 니시키 6m, 가쓰우라 4-5m였다.[103] 쓰나미는 이즈반도-규슈 일본 남해안, 태평양 건너 미국 알래스카주 애투섬(0.28m), 영국령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미국 하와이, 알래스카주, 캘리포니아주(0.01-0.1m)에도 덮쳤다.[104] 쓰나미 제1파 후 짐 가지러 갔다가 제2파에 휩쓸려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103]
다음은 쓰나미 최대 높이표이다.장소 최대 높이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가키자키 2.5m 아이치현 잇시키정 1.5m 와카야마현 신구시 2.0m〜5.0m 미에현 오와세시 2.7m〜9.0m 미에현 다이키정(니시키정) 7.0m 미에현 난토정 5.5m〜6.0m 미에현 구마노시 3.0m〜6.3m 미에현 기이나가시마정 4.0m 지치지마 섬 3m
3. 1. 규모
일본 기상청에서는 규모 Mj7.9로 측정하였다.[80] 표면파 규모 Ms는 8.0,[83] 모멘트 규모 Mw는 8.1[82]-8.2[84]로 추정하고 있다.
지진 단층의 매개 변수는 길이 L=120km, 폭 W=80km, 미끄럼량 D=3.1m[82][85] 또는 L=110km, W=70km, D=4m(구마노나다)와 L=80km, W=80km, D=4m(엔슈나다)의 두 단층으로 나뉜다는 설[85][86]이 있다. 지진 모멘트 M0은 1.5×1021N·m[82]과 2.0×1021N·m[84] 등의 값으로 추정하고 있다.
3. 2. 진원역
안도(1975)의 단층 모델[88]에선 진원역은 아이치현 미카와만 남쪽 해역에서부터 와카야마현 구시모토정 동남쪽 해역에 이르는 난카이 해곡과 평행한 직선의 광범위한 영역이다.[89]
1940년대 후반 일본에선 큰 지진이 잇따라 일어났는데, 쇼와 도난카이 지진 2년 후인 1946년 12월 21일엔 쇼와 난카이 지진이 일어났다. 두 지진은 동시에는 아니지만 난카이 해곡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쇼와 도난카이 지진은 안세이 도카이 지진처럼 스루가만 안쪽 스루가 해곡까지 단층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하마나코 해역 동남쪽 근처에서 단층 파괴가 끝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도카이 지진의 진원역은 지진공백역으로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90]
하마나코 해역에서 단층 파괴가 끝난 이유는 1891년 미노-오와리 지진으로 난카이 해곡 지역의 왜곡이 늘어나고 스루가 해곡 지역의 왜곡이 줄어들어 그랬다는 설[91]이 유력하다. 일본 지진예지연락회 전 회장인 모기 키요는 미노-오와리 지진으로 도카이 지진의 발생이 대략 20년 정도 늦어졌다고 말했다.[91]
3. 3. 지진동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일본 미에현 쓰시와 시즈오카현 오마에자키시, 나가노현 스와시에서 진도 6, 긴키에서 주부 지방에 걸친 지역에서 진도 5를 관측한 것으로 추정된다.[74] 후쿠치촌과 후쿠로이시 등 피해 조사를 통해 진도 7로 추정된 곳도 있었다.[75][76] 도쿄에서는 진도 3-4, 홋카이도 모리정과 아사히카와시에서도 진도 1을 관측했다.[80] 오마에자키에서는 초기 미동이 17.1초간, 강한 진동이 3분간 이어졌고,[74] 도쿄에서는 주기 7-12초의 장주기 지진동이 10분 이상 계속되었다.[81]
일본 각지의 관측소에서 느낀 진동은 다음과 같다.
진도 | 지방 | 관측소 |
---|---|---|
6 | 도카이 지방 | 오마에자키 · 쓰 · 도요하마 · 아카바네 · 오노 · 쓰시마 · 욧카이치 · 오스기타니 |
고신 지방 | 스와 | |
5 | 호쿠리쿠 지방 | 후쿠이시 · 쓰루가시 |
고신 지방 | 고후시 | |
도카이 지방 | 하마마쓰시 · 가메야마정 · 오와세정 · 기후시 · 나고야시 | |
긴키 지방 | 히코네시 · 나라시 | |
4 | 간토 지방 | 마에바시시 · 지치부시 · 도쿄도 (고지마치구) · 요코하마시 |
호쿠리쿠 지방 | 다카다시 · 도야마시 · 와지마정 | |
고신 지방 | 가와구치촌 · 마쓰모토시 · 이다시 | |
도카이 지방 | 아타미시 · 다카야마시 · 미시마시 · 시즈오카시 | |
긴키 지방 | 미야즈정 · 교토시 · 오사카시 · 고베시 · 스모토시 · 와카야마시 · 구시모토정 | |
시코쿠 지방 | 도쿠시마시 · 다카마쓰시 · 다도쓰정 · 마쓰야마시 · 무로토미사키정 · 고치시 |
3. 4. 지각 변동
시즈오카현 오타가와강에서는 제방 위 땅이 갈라지며 2m 정도 침하했다. 구마노나다의 신구시는 0.3m 침하, 도바시는 0.3m 침하, 나고야시는 0.25m-0.4m 침하, 아쓰미반도는 0.3m-0.4m 침하, 하마마쓰시는 0.3m-4m 침하, 스루가만의 시미즈구는 0.5m 침하했다.[98] 가케가와시는 0.07m 융기, 사가라항은 0.3m 융기, 오마에곶은 0.15m 융기했다.[98] 서북쪽이 침강하고 동남쪽은 융기한 지각변동은 안세이 도카이 지진과 비슷하나 스루가만 서해안이 침강한다는 점과 지각변동의 폭이 작다는 점이 다르다.[99]3. 5. 쓰나미
미에현 오와세시를 중심으로 구마노나다 연안 일대에 쓰나미가 덮쳤으며, 오와세시 가타지구에서 최대 소상고 9m를 기록했다.[103] 미에현과 와카야마현에 특히 높은 쓰나미가 덮쳐 아타시카초에서는 6-8m, 가타에서는 7.1m, 니시키에서는 6m, 가쓰우라에서는 4-5m를 기록했다.[103] 쓰나미는 이즈반도에서 규슈에 이르는 일본 남해안 대부분 지역과 태평양 건너편 미국 알래스카주 애투섬(0.28m), 영국령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미국 하와이, 알래스카주, 캘리포니아주(0.01-0.1m)에도 덮쳤다.[104]쓰나미 제1파가 덮쳤다가 물러난 후 집에 짐 등을 가지러 갔다가 제2파에 휩쓸려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103]
장소 | 최대 높이 |
---|---|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가키자키 | 2.5m |
아이치현 잇시키정 | 1.5m |
와카야마현 신구시 | 2.0m〜5.0m |
미에현 오와세시 | 2.7m〜9.0m |
미에현 다이키정(니시키정) | 7.0m |
미에현 난토정 | 5.5m〜6.0m |
미에현 구마노시 | 3.0m〜6.3m |
미에현 기이나가시마정 | 4.0m |
지치지마 섬 | 3m |
4. 전조 현상
1944년 8월부터 오와세시 지방에서 군발지진 활동이 시작되었다.[79] 같은 해 11월에는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 지역과 간토 지방 내륙 지역에서 지진 활동이 다소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었다. 하지만 감소한 정도가 평소의 오차와 비슷하며 다른 시기에도 이 정도의 평온화가 일어났기 때문에 결정적인 전조 현상이라 보기엔 어렵다.[79] 조위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다.[92]
도쿄제국대학 이마무라 아키쓰네 교수는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에서 프리슬립(pre-slip) 현상으로 볼 수 있는 지각변동을 관측하였다.[96] 쇼와 시대 초기 도카이 해역과 난카이 해역에 거대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을 한 이마무라 아키쓰네 교수의 요청으로, 지진 전날부터 지진 발생 직전까지 일본 육군 측지측량부가 가케가와에서 오마에자키시 근처까지 지질 측량을 시행했다. 수준점 1등수준측량 결과 4mm를 넘는, 일반적인 측량에선 나타날 수 없는 오차값이 나왔다. 4mm의 오차는 지진이 일어난 날 아침 측량에 집중적으로 나타났으며 지진 발생 10분 전부터는 수준의의 눈금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에 이 오차는 지진 직전 일어난 지각변동으로 보인다고 결론내렸다.[96] 이 지각변동은 도카이 지진 예지의 근거가 되는 지진 직전 지각변동의 예시이다.[97]
5. 피해
쇼와 도난카이 지진으로 아이치현, 미에현, 시즈오카현을 중심으로 큰 피해가 발생했다. 지진과 쓰나미로 인해 총 1,223명이 사망하고 2,135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47,000채에 달하는 가옥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1] 특히, 아이치현 한다시의 나카지마 비행기 공장과 나고야시 미나미구의 미쓰비시 중공업 비행기 공장 건물이 붕괴하여 각각 130명, 6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 공장에서 일하던 조선여자근로정신대원 6명도 사망했다.[102]
1975년 연구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는 다음과 같다.
지역 | 인적 피해 | 주택 | 기타 건물 | |||
---|---|---|---|---|---|---|
사망 및 실종자 | 부상자 | 완전 붕괴 | 반파 | 완전 붕괴 | 반파 | |
아이치현 | 438 | 1,148 | 6,411 | 19,408 | 10,121 | 15,890 |
시즈오카현 | 295 | 843 | 6,970 | 9,522 | 4,862 | 5,553 |
미에현 | 406 | 607 | 3,776 | 4,537 | 1,417 | 2,228 |
기후현 | 16 | 38 | 406 | 541 | 459 | 388 |
나라현 | 3 | 17 | 89 | 177 | 244 | 224 |
시가현 | 0 | 0 | 7 | 76 | 28 | 88 |
와카야마현 | 51 | 74 | 121 | 604 | 46 | 63 |
오사카부 | 14 | 135 | 199 | 1,629 | 124 | 63 |
야마나시현 | 0 | 0 | 13 | 11 | 14 | 3 |
후쿠이현 | 0 | 0 | 1 | 2 | 2 | 3 |
효고현 | 0 | 2 | 3 | 0 | 23 | 9 |
나가노현 | 0 | 0 | 12 | 47 | 1 | 2 |
총 합 | 1,223 | 2,864 | 18,008 | 36,554 | 17,341 | 24,514 |
- 유실 주택: 3,129채
- 침수 주택: 8,186채
- 소실 주택: 3,129채
- 화재 발생: 26건
기이 반도 동쪽, 특히 신구와 쓰에서 피해가 컸다.[1] 지진으로 총 26,146채의 가옥이 파괴되었으며, 이 중 11채는 화재로 소실되었고, 쓰나미로 3,059채가 추가로 파괴되었다.[1]
나고야시를 중심으로 한 주쿄 지역은 미쓰비시 중공업, 나카지마 비행기 등 항공기 산업 중심지로 군용기 생산에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도카이도선은 가케가와역 서쪽에서 큰 피해를 입었고, 오타가와 주변에서는 화물 열차가 탈선, 전복되어 화재가 발생했다.[30] 전복된 화차는 수십 량에 달했다.[44]
기타 피해는 다음과 같다.
- 도로 파괴: 505개소
- 교량 유실: 61개
- 제방 붕괴: 155개
- 철도 피해: 48개소
- 선박 유실: 1,898척
- 안벽 파괴: 84개소
5. 1. 보도 통제
태평양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일본 군부는 군수 공장의 피해 상황이 누설될 것을 우려하여 정보를 통제했다.[68][105][106] 다음 날인 12월 8일이 진주만 공습 3주년이었기 때문에 전쟁 의식을 고양시키는 보도 외에는 전부 차단되었다.[68] 지진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신문 3면 하단에 짧게 단신으로 적혀 있었으며 구체적인 피해 상황은 적히지 않았다.[68][106]피해 지역 주민과 학도근로동원에 동원되었던 학생들에게는 피해 상황에 대해 절대로 말하면 안 된다는 엄격한 함구령이 내려졌다.[68][106] 예를 들어, 당시 공장에서 있던 한 학생은 또래 학생이 지붕에 깔려 죽은 것을 목격하고 자신도 붕괴 현장에 갇혀 있다 구조되었으나 교사들이 "절대로 발설해서는 안 되며 피해를 말하는 것은 간첩 행위와 같다"고 말했다는 증언이 있다.[107] 조선인 근로정신대도 똑같아 지진 20여 일 뒤인 12월 24일 뒤늦게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에 공장 붕괴와 정신대원 사망이 보도되었으나 지진에 대한 언급은 일절 없었다.[108]
5. 2. 연합국의 인지
세계 각국의 지진계에 지진이 관측되어 다른 국가도 지진 발생 사실을 파악하고 있었다.[68][105][106] 미국의 주요 신문들은 일본에 대지진이 일어났다는 것을 군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포함하여 대서특필하였다. 예를 들어 뉴욕 타임스는 "지구가 6시간 동안 흔들렸으며 세계 관측소는 '파괴적인 진동'을 느꼈다"고 보도했으며, "일본 중앙부에서 대지진"이라는 등 지역을 특정하여 보도한 언론사도 있었다.[109] 지진 발생 3일 후, 미군 항공기가 해일 피해 분석을 위해 정찰 사진을 촬영하여 연합국 측은 피해 상황을 전부 확인했으며, 특히 군수공장 등 주요 전략 거점의 피해 상황을 분석했다. 지진 6일 뒤인 12월 13일에는 쓰나미 피해를 입은 나고야시 일대의 항공기 공장을 폭격했다.[68][106]6. 유발지진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의 영향으로 진원역 및 여진 지역과 거리가 있는 지역에서도 규모가 큰 유발지진이 일어났다.[110] 대표적인 유발지진은 다음과 같다.
발생일 | 지진명 | 규모 | 기타 |
---|---|---|---|
1944년 12월 19일 |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 M6.8 | 만주국과 일제강점기 조선 경계 부근 서조선만 부근 압록강 하구[93] |
1945년 1월 13일 | 미카와 지진 | M6.8 | 아이치현 가마고리시 부근[110] |
1946년 12월 21일 | 쇼와 난카이 지진 | Mw8.1-8.4 | 시오노미사키곶 해역 난카이 해곡 판 경계형 지진, 사망자 1,330명 |
1948년 4월 18일 | 와카야마현 남쪽 해역 지진 | M7.0 | 쇼와 난카이 지진과 쇼와 도난카이 지진에서 파괴되지 않고 남아있던 균열 파괴[111][79] |
1948년 6월 28일 | 후쿠이 지진 | M7.1 | 후쿠이현 기타킨키 지역[110] |
7. 향후 지진 위험
난카이 해곡은 혼슈섬 남쪽 해안을 따라 뻗어 있으며, 필리핀해 판이 유라시아 판 아래로 섭입하는 경계이다. 이 수렴 경계의 움직임은 거대 지진을 포함한 많은 지진을 유발한다. 난카이 거대 단층은 독립적으로 파열될 수 있는 5개의 구획(A~E)으로 나뉘며,[2][3] 지난 1300년 동안 이 구획들은 단독으로 또는 함께 반복적으로 파열되었다.[4] 이 구조에서 발생하는 거대 지진은 비교적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쌍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1944년 지진(C & D 구획 파열) 이후 2년 뒤에 A & B 구획이 파열되는 1946년 난카이도 지진이 발생했고, 1854년에도 유사한 지진이 두 차례 발생했는데, 각 경우에서 북동쪽 구획이 남서쪽 구획보다 먼저 파열되었다.[5]
1944년 지진의 파열 지역 동쪽에 있는 거대 지진대는 1854년 이후 파열되지 않았으며, 이 지진 동쪽에서 '도카이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 단층대가 과거에 단독으로 파열되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단층대 E의 파열은 단층대 C & D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피해가 컸던 1854년 도카이 지진의 재발을 초래할 수 있다.[10]
참조
[1]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https://www.ngdc.no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1972
[2]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3]
논문
Status of historical seismology in Japan
http://www.earth-pri[...]
2009-11-22
[4]
서적
A Review of Geological Evidence for Recurrence Times of Large Earthquakes
http://www.gps.calte[...]
2009-11-13
[5]
서적
2007 Symposium on Underwater Technology and Workshop on Scientific Use of Submarine Cables and Related Technologies
[6]
논문
Development of Long-period Ground Motions from the Nankai Trough, Japan, Earthquakes: Observations and Computer Simulation of the 1944 Tonankai (Mw 8.1) and the 2004 SE Off-Kii Peninsula (Mw 7.4) Earthquakes
http://www.eri.u-tok[...]
2011-03-26
[7]
논문
Rupture process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M s 8.1) from the inversion of teleseismic and regional seismograms
http://www.agu.org/j[...]
2011-03-26
[8]
논문
High precision slip distribution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inferred from tsunami waveforms: Possible slip on a splay fault
[9]
웹사이트
Tsunami Runups
https://www.ngdc.no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4-03-22
[10]
논문
Nankai-Tokai subduction hazard for catastrophe risk modeling
[11]
웹사이트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20世紀前半 (1901-1950)
https://www.zisin.jp[...]
日本地震学会
2021-07-07
[12]
논문
Rupture process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Ms 8.1) from the inversion of teleseismic and regional seismograms
https://agupubs.onli[...]
2003
[13]
웹사이트
75年前の揺れは… 昭和東南海地震を名古屋大が再評価
https://www.asahi.co[...]
2020-07-07
[14]
웹사이트
戦争終結を早めたと言われる東南海地震から72年、「隠された地震」の被害はどうだったのか
https://news.yahoo.c[...]
Yahoo
2016-12-07
[15]
웹사이트
1944年東南海地震
http://plaza.umin.ac[...]
([[石橋克彦]] : [[南海トラフ巨大地震]]―歴史・科学・社会、[[岩波書店]]、2014、8-18)
2021-07-07
[16]
간행물
遠州沖大地震所感
https://doi.org/10.1[...]
1944
[17]
서적
君子未然に防ぐ-地震予知の先駆者今村明恒の生涯-
東北大学出版会
2002
[18]
웹사이트
1944東南海地震・1945三河地震報告書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2012-03-20
[19]
웹사이트
NHK歴史証言アーカイブス[証言記録 市民たちの戦争]封印された大震災〜愛知・半田〜
https://www2.nhk.or.[...]
NHK
2016-03-12
[20]
문서
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1944-12
[21]
서적
東南海大地震調査概報 昭和十九年十二月七日 : 極秘
https://tsunami-dl.j[...]
中央氣象臺
1945
[22]
기타
歴史地震の震度分布
https://web.archive.[...]
[23]
서적
隠された大震災 : 太平洋戦争史秘録
https://ndlsearch.nd[...]
東北大学出版会
2009-10
[24]
간행물
1944年東南海地震前後の地震活動
https://doi.org/10.4[...]
1986
[25]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記録の復元と関東の長周期地震動
https://doi.org/10.3[...]
物理探査学会
2006
[26]
기타
南海・東南海・東海地震の連動発生による強震動と津波の発生
https://www.giroj.or[...]
[27]
간행물
1944年東南海地震の広域震度分布の再評価と被害の特徴
https://doi.org/10.5[...]
2015
[28]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doi.org/10.1[...]
[29]
서적
昭和19年12月7日東南海地震の震害と震度分布
https://ndlsearch.nd[...]
愛知県防災会議
1977-03
[30]
서적
巨大地震 予知とその影響
東京大学出版会
1986
[31]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の広域震度分布の再評価と被害の特徴
https://doi.org/10.5[...]
日本地震工学会
[32]
서적
世界の被害地震の表
1990
[33]
논문
Detailed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estimated from tsunami waveforms
https://doi.org/10.1[...]
[34]
서적
日本の地震断層パラメーター・ハンドブック
鹿島出版会
1989
[35]
기타
Earthq. Pred.
1981
[36]
논문
津波波形から推定された1944年東南海地震及び1946年南海地震のすべり量分布の解釈
https://doi.org/10.5[...]
2001
[37]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https://doi.org/10.1[...]
[38]
PDF
第151回地震予知連絡会資料
http://www.seis.nago[...]
[39]
PDF
東海地方に予想される大地震の再検討 駿河湾地震の可能性
https://cais.gsi.go.[...]
[40]
논문
東海地震についての一考察
https://doi.org/10.4[...]
1996
[41]
서적
戦時報道管制下隠された大地震・津波
新日本出版社
1986
[42]
서적
津波の事典
朝倉書店
2007
[43]
문서
1944東南海地震・1945三河地震報告書
[44]
서적
高松宮日記 第七巻 昭和十八年十月一日~昭和十九年十二月三十一日
中央公論社
[45]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前の潮位変化と当時の潮位資料
https://dl.ndl.go.jp[...]
東京 : 気象庁
2002-03
[46]
웹사이트
物理で探る生きものらしさの源 大沢 文夫
http://brh.co.jp/s_l[...]
JT生命誌研究館
2019-03-07
[47]
PDF
銭州海嶺における地震活動と広域地震活動との関係について
https://cais.gsi.go.[...]
[48]
PDF
銭州海嶺における地震活動と広域地震活動との関係について(2)
http://cais.gsi.go.j[...]
[49]
논문
temporal variation of crustal deformation during the days proceeding a thrust-type great earthquake: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of magnitude 8.1, Japan
http://link.springer[...]
1984
[50]
PDF
水準測量データの再検討による1944 年東南海地震プレスリップ
https://web.archive.[...]
[51]
논문
体積歪計観測網による東海地震の前兆すべりの検知能力
https://dl.ndl.go.jp[...]
東京 : 気象庁
2000-02
[52]
논문
11-15 水準測量データに基づく1944年東南海地震プレスリップの再検討(名大)
https://cais.gsi.go.[...]
国土地理院
2005-09
[53]
웹사이트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outreach.eri.[...]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広報アウトリーチ室
[54]
논문
Korea及びその周辺域の地震・火山活動とアジア東縁のテクトニクス : 地震活動に現われる潜在構造
https://doi.org/10.2[...]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
2002-03
[55]
웹사이트
1948/04/18 01:11:30.6 和歌山県南方沖 M7.0
http://www.data.jma.[...]
気象庁震度データベース
[56]
서적
恐怖のM8 東南海、三河大地震の真相
中日新聞本社
1983
[57]
웹사이트
特集まるごと「“隠された地震”掘り起こす」
http://www9.nhk.or.j[...]
NHK Web News
2016-03-12
[58]
기타
当時の少女本人へのインタビューによる体験談(TBS報道特集、2010年8月14日放送)
[59]
논문
米軍空中写真を用いた尾鷲市南部の1944年東南海地震による津波痕跡の判読
https://doi.org/10.1[...]
[60]
웹사이트
報道規制された地震被害-NY紙は大きく報道
https://www.bunka.pr[...]
三重県環境生活部文化振興課県史編さん班
2020-07-13
[61]
뉴스
「被害は東日本大震災の10倍超」2030~40年に想定される西日本大震災という時限爆弾
https://president.jp[...]
2021-07-08
[62]
뉴스
南海トラフ地震の前に発生する内陸地震に警戒必要 注目エリアは近畿、中部 専門家対策呼びかけ
https://www.sankei.c[...]
2021-07-08
[63]
뉴스
南海トラフ地震の「発生シナリオ」を考えてみる ー【その1】地震の発生まで
https://news.yahoo.c[...]
2021-07-08
[64]
뉴스
能登地方および京都府南部の地震活動を受けて-南海トラフ地震と西南日本活動期の関係
https://www.jamstec.[...]
2024-08-12
[65]
뉴스
南海トラフ巨大地震の前後には規模の大きな「内陸地震」が起こるといわれる【命を守る天災学「内陸地震」1】
https://news.ntv.co.[...]
2024-08-12
[66]
뉴스
近年、西日本で相次ぐ活断層による内陸地震は“前ぶれ”か 西日本は南海トラフ地震発生前の『地震活動期』と専門家 「南海トラフ沿いに『ひずみ』は着実にたまる」
https://newsdig.tbs.[...]
2024-08-12
[67]
웹사이트
日本付近の主な被害地震年代表
https://www.zisin.jp[...]
日本地震学会
[68]
웹인용
“NHK歴史証言アーカイブス[証言記録 市民たちの戦争]封印された大震災〜愛知・半田〜
http://www.nhk.or.jp[...]
NHK
2018-10-06
[69]
저널
遠州沖大地震所感
https://www.jstage.j[...]
2018-10-06
[70]
서적
君子未然に防ぐ-地震予知の先駆者今村明恒の生涯-
東北大学出版会
2002-08
[71]
웹인용
1944 東南海地震・1945 三河地震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2007-03
[72]
웹인용
戦中戦後の歴史に埋もれた「昭和の4連続超巨大地震」
https://matome.naver[...]
naver.jp
[73]
문서
中央気象台「月別全国地震調査原稿」 昭和19年12月
[74]
문서
極秘 昭和十九年十二月七日 東南海大地震調査概報 中央気象台 1945-02-20 三秀舎
[75]
웹인용
中央防災会議
http://www.bousai.go[...]
歴史地震の震度分布
2003
[76]
서적
隠された大震災
東北大学出版会
2009
[77]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の広域震度分布の再評価と被害の特徴
https://www.jstage.j[...]
2015
[78]
서적
隠された大震災
東北大学出版会
2009
[79]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前後の地震活動
https://www.jstage.j[...]
1986
[80]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81]
논문
1944年東南海地震記録の復元と関東の長周期地震動
https://www.jstage.j[...]
2006
[82]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1944 Tonankai and the 1946 Nankaido earthquakes
https://www.scienced[...]
1972
[83]
서적
世界の被害地震の表
1990
[84]
논문
Detailed coseismic slip distribution of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estimated from tsunami waveforms
https://agupubs.onli[...]
2001-03-15
[85]
서적
日本の地震断層パラメーター・ハンドブック
鹿島出版会
1989
[86]
문서
Ishibashi(1981), Earthq. Pred., Ewing Ser. 4, 297-332
[87]
논문
津波波形から推定された1944年東南海地震及び1946年南海地震のすべり量分布の解釈
https://www.jstage.j[...]
2001
[88]
논문
Source mechanism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historical earthquakes along the nankai trough, Japan
https://www.scienced[...]
1975-06
[89]
웹인용
第151回地震予知連絡会資料
http://www.seis.nago[...]
2018-10-09
[90]
웹인용
4-13 東海地方に予想される大地震の再検討―駿河湾地震の可能性―
http://cais.gsi.go.j[...]
1977
[91]
논문
東海地震についての一考察
https://www.jstage.j[...]
1996
[92]
웹인용
1944年東南海地震前の潮位変化と当時の潮位資料
http://www.jma.go.jp[...]
験震時報
2001-09-25
[93]
논문
Korea及びその周辺域の地震・火山活動とアジア東縁のテクトニクス : 地震活動に現われる潜在構造
http://www.lib.kobe-[...]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
2007-04-13
[94]
웹인용
4-5 銭洲海嶺における地震活動と広域地震活動との関係について
http://cais.gsi.go.j[...]
学地震研究所
[95]
웹인용
4-4 銭洲海嶺における地震活動と広域地震活動との関係について(2)
http://cais.gsi.go.j[...]
学地震研究所
[96]
논문
Temporal variation of crustal deformation during the days preceding a thrust-type great earthquake — The 1944 Tonankai earthquake of magnitude 8.1, Japan
https://link.springe[...]
1984-11
[97]
웹인용
体積歪計観測網による東海地震の前兆すべりの検知能力
http://www.mri-jma.g[...]
[98]
웹인용
東南海地震の地変及び地盤の破壊
http://www.seis.nago[...]
東海地方地震・津波災害誌
1985
[99]
서적
巨大地震 予知とその影響
東京大学出版会
1986
[100]
웹인용
Significant Earthquake
https://www.ngdc.noa[...]
NOAA
[101]
웹인용
報告書(1944東南海地震 1945三河地震)
http://www.bousai.go[...]
일본 내각부
2007-03
[102]
뉴스
도난카이 대지진때 희생된 조선 소녀, 선전용 포장 신문 발견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6-05-31
[103]
서적
津波の事典
朝倉書店
2007
[104]
웹인용
Tsunami Event
https://www.ngdc.noa[...]
NOAA
[105]
서적
恐怖のM8 東南海、三河大地震の真相
中日新聞本社
1983
[106]
뉴스
特集まるごと「“隠された地震”掘り起こす」
https://web.archive.[...]
NHK
2018-10-09
[107]
기타
当時の少女本人へのインタビューによる体験談(TBS報道特集、2010年8月14日放送)
[108]
뉴스
일제, 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통해 지진 희생자 죽음까지 ‘날조’?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8-10-09
[109]
저널
米軍空中写真を用いた尾鷲市南部の1944年東南海地震による津波痕跡の判読
https://www.jstage.j[...]
2018-10-09
[110]
웹인용
2011年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 過去に起きた大きな地震の余震と誘発地震
http://outreach.eri.[...]
東京大学地震研究所 広報アウトリーチ室
2018-10-09
[111]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